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스프레드시트(엑셀)로 만든 오답노트 anki에 가져오기

🤓 공부인간

by Yun#5811 2021. 2. 21. 00:26

본문

반응형

전국모의고사를 여러번 보고, 강사모의고사도 몇 개 풀다보니 스프레드시트에 헌법 선지들이 꽤 모였습니다.

이걸로 제가 Anki를 활용해서 오답노트를 만드는 과정을 보여드릴게요.

오답노트 재료 모으기

저는 문제를 풀면서 스프레드시트에

  1. 모르는 선지
  1. 알듯 말듯 확신이 들지 않는 선지
  1. 선지 구성에 따라서 헷갈릴 수도 있을 것 같은 선지
  1. 아는 줄 알았는데 틀린 선지

를 모두 모아둡니다.

문제를 풀면서 내가 정오 판단에 확신이 있었는지를 기준으로 한 번 필터링을 하고, 채점하고 나서 나름 확신을 갖고 답을 골랐는데 틀린 것들도 뽑아내는겁니다.

1번이야 당연히 새로 익혀야 하는 선지들이고,

2, 3번은 이번에 운이 좋아서 답을 맞췄더라도 시험에서 내가 잘 모르는 다른 선지와 함께 묶이면 혹시 이게 틀렸나? 하고 헷갈릴 수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공부해두지 않으면 위험한 놈들입니다.

그리고 4번은 신기하게도 스스로 엄격하게 '잘 모르는 선지'를 다 걸러냈다고 생각했는데도 종종 나옵니다 ㅋㅋ

리뷰를 하면서 ox 정답 칸과 짧은 해설 칸도 채웁니다. 해설은 강사의 해설처럼 자세하게 쓰기보다는 내가 기억하기에 도움이 될 만한 실마리를 간단하게만 적어놓습니다.

이런 엑셀/스프레드시트 상태로 공부해도 상관 없지만, 저는 Anki를 활용합니다.

한 번에 하나의 정보만 공부할 수 있어 피로도가 줄어들고, 두어번 보니 확실히 알겠다 싶은 것들은 빨리 쳐내고, 계속 헷갈리는 것들은 더 자주 볼 수 있도록 학습간격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시트로 만들어 둔 오답노트를 앙키의 ox 플래시 카드로 옮기는 법을 보여드릴게요.

시트 채우기

일단 A열에 문제, B열에 답, C열에 해설을 채웁니다.

해설은 아예 안써도 되고, 필요한 문제에만 써도 됩니다. 전부 다 채울 필요는 없습니다.

CSV 파일로 저장하기

구글 시트 기준, 파일-다운로드-쉼표로 구분된 값(.csv, 현재 시트)을 선택합니다.

Anki 카드 설정하기

앞면에 문제가 나오고, 뒷면에 답과 해설이 나오는 형태의 카드 유형을 설정하겠습니다.

문제-답만 작성하고, 해설은 쓰지 않으실 분들은 이 목차를 무시해도 됩니다.

앙키 첫 화면에서 도구-노트 타입 관리를 선택합니다.

노트 유형 창이 뜨면 "추가"를 선택합니다.

추가:기본 으로 하겠습니다. 이름은 원하는 대로 지어주면 됩니다.

다시 노트 유형 창에서 방금 만든 유형을 선택한 뒤, 오른쪽의 "필드..."를 선택합니다

"xxx의 필드" 창에서 "추가"를 선택해 필드 이름을 "해설"로 입력합니다

1: 앞면, 2: 뒷면, 3: 해설 이렇게 세 개의 필드가 만들어졌으면 오케이입니다.

또다시 노트 유형 창에서 "카드..."을 선택합니다.

이런 화면이 나옵니다. 아래에 있는 "필드 추가"를 선택합니다

필드: 해설, 삽입 위치: 뒷면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릅니다.

이렇게 뒷면 서식에 한 줄이 추가되고, 뒷면 미리보기에 (해설)이 나타나면 성공입니다.

저는 (뒷면)과 (해설) 사이에 <hr>코드를 사용해서 구분선도 만들어줬습니다.

(추가로, 이 창에서 앞뒷면 서식에는 html, "스타일"에는 css를 활용해서 카드를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습니다. 저는 text-align: left; 는 꼭 해주는 편입니다. 왼쪽 정렬이 넓은 화면에서 보기에 훨씬 편합니다.)

이제 다 된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csv 파일 가져오기

파일-가져오기를 선택하고, 아까전에 구글 시트나 엑셀에서 다운로드한 csv 파일을 선택합니다.

1은 방금 같이 만들었던 유형을 선택하시고, 2는 카드가 추가될 뭉치를 선택합니다. 저는 "헌법 오답"이라는 새 뭉치를 하나 만들었습니다.

시트에서 A, B, C열이 각각 필드1~3: 앞면, 뒷면, 해설에 배정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D열은 태그로 자동배정되어있네요. 태그 기능을 활용하실 분들은 원하는 태그를 D열에 채우시면 되겠습니다.

"가져오기"를 누르면 이런 창이 뜹니다. 145개의 카드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카드 145개를 Anki에서 한땀 한땀 만들 생각을 하면 아찔하죠. 앙키 쓰는 분들 꼭 csv 가져오기 활용하세요ㅋㅋ

이제 탐색(단축키:b) 창에서 카드들이 잘 만들어졌는지 확인한 뒤, 공부하시면 됩니다.

저는 문제-답-해설로 구성된 카드를 추가했는데, 다른 구성과 유형의 카드를 원한다면 방금 했던 과정 중에서 필요한 사항을 더하거나 빼거나 변경하면 됩니다. 몇 번 해보면서 익숙해지면 방법을 알게 되실 겁니다.

혹시 하다가 막혔다거나, 궁금한 게 있다면 댓글 주세요.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