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이 2개, ㄴ이 3개이므로 ㄴ이 맞을 것 같으니까, ㄷ을 지운다. (그냥 추측)
ㄷ
A->B일 때
남성:53에서 57로 10% 안되게 증가
여성: 21에서 24로 10% 넘게 증가
따라서 B의 여성 비율이 더 크다. 틀림
(+)
역기서 수 구조를 만들어 둔 것 같은데,
53을 21로 나누면 2에 나머지 9
57을 24로 나누면 2에 나머지 9로
나눈 값이 A>B이므로 여성 비율은 A<B이다.
일부러 나머지를 같게 준게 아닐까 추측한다. 근데 위의 방법대로 증가율로 푸는게 더 빠르다
다음엔 취향대로 쉬워보이는 것 골라잡기
ㄱ
여성: 21, 경력 10년 미만: 21이므로
남성의 비율과 경력 10년 이상인 지원자의 비율은 같다. 틀림
(경력에서 12+9가 18+16+19보다 빠르므로 여성으로 전자로 확인)
답 4로 도출
ㄴ
업무경력 20년 이상인 25명을 최종학력 학사에 다 밀어넣으면 25-18=7 맞다.
ㄹ
A기업: 25는 전체 (26+25+23)의 약 1/3
B기업: 26은 전체 (27+26+28)의 1/3이 되지않음
따라서 당연히 35% 미만이다.
기출은 숫자를 확실히 준다. 정확한 값을 구할 필요 없이, 기준을 하나 잡고 돼/안돼로 판단하면 된다.
그 기준을 효과적이고 편한 숫자로 빠르게 잡는 것이 문제풀이를 하며 키워야 할 능력이고, 흔히들 말하는 '감'이다.
[PSAT] 2019 5급공채 자료해석 6번 해설/풀이과정 (0) | 2020.04.21 |
---|---|
[PSAT] 2008 상황판단 16번 해설 (3) | 2020.04.08 |
[PSAT] 2019 5급공채 자료해석 4번 해설/풀이과정 (0) | 2020.03.15 |
[PSAT] 2019 5급공채 자료해석 3번 해설/풀이과정 (0) | 2020.03.14 |
[PSAT] 2019 5급공채 자료해석 1,2번 해설/쉽고 빠른 풀이과정 (2) | 2020.03.1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