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을 공부하다가 종종 선지에서 "~~는 헌법에 명시적으로 규정되어있다."라고 나오거나
헌법 조문을 그대로 따와서 선지화 한 경우도 많기 때문에
조문을 아예 외워두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어요.
이전 포스팅에 올려두었던 anki deck을 활용해서 공부하는 모습을 가져와봤어요.
Anki app으로 헌법조문 암기하기
https://ankiweb.net/shared/info/1785587940 헌법 조문암기 - AnkiWeb Text 제60조 ①국회는 {{c1::상호원조 또는 안전보장에 관한 조약}}, 중요한 국제조직에 관한 조약, 우호통상항해조약, {{c1::주권의 제약에..
learningaboutmyself.tistory.com
위 링크에 제가 만들어둔 헌법조문 카드뭉치(deck)을 공유해두었으니 필요하신 분 다운받아가세용
anki 앱으로 학습하는 화면을 Ios 앱의 다크모드로 보면 이런 느낌이에요
이렇게 자투리 시간에 5-10분씩 꾸준히 해서 헌법 조문 외워두면 좋을 것 같아요
문제 풀면서 논점이라 느꼈던 부분들을 빈칸 처리 해뒀습니다.
잠시 anki의 장점에 대해서 수다를 떨어볼게요.
active recall 이라고 들어보셨나요?
공부를 할 때 읽기, 듣기, 형광펜 표시하기, 요약하기와같은 방법보다
이렇게 빈칸 부분을 내가 생각하면서 외우는 게 암기하는 데 훨씬 효율적이라는 게 여러 실험을 통해 과학적으로 증명되었다고 합니다.
즉 input 보다 output의 과정이 머릿속에 정보를 각인시키는 데 더 효과적이란 이야기인데요.
문제를 풀거나, 다른사람을 가르치는 등 내 머릿속에서 어떤 내용을 끄집어 내는 연습을 하는 것이 같은 시간동안 수동적 학습을 했을때보다 더 성과가 좋다고 하네요.
anki는 이런 학습방법을 디지털로 구현할 수 있도록 제작된 프로그램이에요.
마치 플래시카드를 제작해서 공부하는 것처럼 앱을 활용해서 손쉽게 active recall 학습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익한 도구라고 생각합니다.
덱 제작도 손에 익으면 엄청 빠르게 할 수 있어요.
anki 의 또 다른 장점은 space repetition을 자동으로 해준다는 점인데요,
공부하시는 분들 한번쯤은 들어봤을 '망각곡선'을 활용해서 점점 반복학습의 갭을 늘려가면서 정보를 input 해서 장기기억으로 전환되게끔 하는 공부법이에요.
이게 효과적이란 걸 알고있어도 실천하기가 무척 어려운데요.
계속 공부 시점을 의식해가면서 계획을 세우고 그대로 실천하는 일이 번거롭기 때문이죠.
anki는 그걸 자동으로 해줘서 좋습니다.
방금 학습한 카드의 내용이 생소하다면 hard, 괜찮았으면 good, 너무 쉬워서 한참 나중에야 보고싶다면 easy를 선택하는 식입니다.
그럼 자동으로 그 카드를 다시 보여줄 시기를 조절해줍니다.
헌법 암기하다가 문득 생각이 나서 주절주절 포스팅해봤어요.
암기량 많은 공부하시는 분들이 활용해보셨으면 좋겠네요!
2011 외무고시 국제정치학 3문 (조선책략) (2) | 2020.07.20 |
---|---|
외교관후보자 선발시험 - 1차 끝, 3순환 시작. (4) | 2020.05.21 |
Anki app으로 헌법조문 암기하기 (2) | 2020.04.22 |
[국제경제학] 리카도 모형 (1) | 2020.04.10 |
외교원 수험생의 공부기록: 2.28 간만에 국제정치 (0) | 2020.02.28 |
댓글 영역